카테고리 없음

전기요금계산 및 한전 전기요금조회 누진세 구간요금 확인

yeonnnniee 2020. 7. 18. 21:32

안녕하세요 정보지기입니다. 요즘 장마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마가 끝이나면 폭염 더위가 찾아온다고 합니다. 여름철  폭염에는 각종 냉방기기 사용으로 전기요금이 올라갈텐데요, 

오늘은 전기요금계산 과 전기요금조회 누진세계산 등에서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기요금은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으로 구성됩니다.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의 합에 전력산업기반기금과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청구금액이 결정됩니다.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체계는 전기 사용 용도에 따라 총 6가지 계약종별로 구분하여 해당하는 요금을 적용합니다. 이렇게 시행하는 이유는 용도별 전기사용 패턴에 따라 공급원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공급비용 반영을 위함이라고 합니다. 



# 전기요금계산 


한국전력공사 사이트를 통해 전기요금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아래화면처럼 요금계산비교 아이콘을 클릭하면 손쉽게 전기요금계산을 해볼 수 있는 팝업창을 볼 수 있습니다.


계약종별과 조건을 확인 후 해당에 항목에 체크를 한후 요금계산을 합니다. 저는 6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달간 전기요금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총사용량이 300kw라고 가정했을때,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을 더한 39050원이 나옵니다. 여기서 보장공제로 4000원 할인 후 10% 부가가치세와 전력산업기반금이 추가되어 총 44390원이 나온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우리집 전기요금조회


이번에는 거주하는 곳인 우리집 전기요금 간편조회하는 방법 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고객번호를 알아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전기고지서나 국번없이 123으로 전화해서 주소와 본인인증으로 고객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에서 [사이버지점]-[조회/납부] 메뉴에서 간편조회를 클릭해 전기요금조회를 하실 수있습니다. 고객번호와 청구년월 선택후 문자인증을 하게되면 쉽게 전기사용량과 요금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전기 누진세 구간표 


마지막으로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주택용 누진세입니다. 사용한 전력량 구간에 따라 1kw 당 요금이 다르게 부과되는 방식입니다. 


예를들어, 910원(기본요금) + 200 kwh x 93.3(처음 200 kwh까지)= 19570원 처럼 사용한 범위 내의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을 합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만약 한달에 400kw 전기를 사용했다면

1600(기본요금) +200 kwh x 93.3 + 200 kwh x 187.9 =57840원이 됩니다.

총 사용한 전기사용량 기본교금에 처음 200 kwh를 넘어가는 전력량부터는 다음 200 kwh 요금으로 계산하여 합산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누진세는 7~8월 하계기간에는 구간이 변경됩니다. 7월과 8월에는 1구간이 300 kwh이하이고, 2구간이 301~450 kwh 3구간이 450 kwh 초과로 되어있습니다 기타계절인 1~6월, 9~2월은 원래 누진세 구간표대로 동일 적용됩니다. 



2020년 올해는 누진세 구간이 완화되어 작년과 동일한 누진세 개편안아니 적용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전기요금 계산 및 한전전기요금조회 누진세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