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주휴수당 계산법 2020 최신편 완벽정리

yeonnnniee 2020. 6. 11. 20:29

직장인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하는 정보 주휴수당 계산법! 하지만 세밀하게 알지 못하는 직장인이 대부분일텐데요, 오늘은 주휴수당계산법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상 1주일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을 뜻합니다. 즉, 주휴일에는 근로제공을 하지 않아도 되며,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무조건 근무를 하면 주휴수당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몇가지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있습니다. 



1. 정해진 근무일에 개근한 근무자


2. 4주동안을 평균하여 1주 동안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


3. 근로계약서에 나와있는 근로일에 무단결근한 근무자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은 간단히 말해 1주일 일하면 1일에 대한 임금을 근무하지 않아도 지급하는 내용입니다. 



2020년 최저임금인 8,590원을 기준으로 계산 해보겠습니다.

1주일에 5일근무 1일 8시간, 1주 40시간 근무인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68,720원이 됩니다. 




시급, 연봉, 주휴수당 등은 알바몬 혹은 네이버 임금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 보통 주휴수당은 급여에 주휴수당 항목으로 주기도 하지만 기본 급여에 포합되어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기본급이 최저임금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최저임금 미달로 인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미지급은 최저임금 미달과 더불어 가중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당히 지급받지 못한경우에는 반드시 신고하여 똑똑하게 챙겨 받으셔야 합니다.